아래 내용들은 제가 학습한 정보를 추후에도 사용하기 위해 기록한 내용입니다.
[4. Level Blueprint]



[5. Blueprint Event Graph]
이벤트 그래프(Event Graph) - 블루프린트를 그릴 캔버스


[6. Physics Simulation]


[7. Objects and References]



[8. Adding an Impulse]
충격량(Impulse) = 질량(Mass) * 속도 변화(Velocity Change)

[9. Blueprint Classes and Instances]
클래스(Class): 일종의 틀(Templete)
인스턴스(Instance): 클래스에 소속된 객체(Object)

[10. Spawning Actors]
Spawn Actor from Class를 통해 블루프린트 클래스 생성 가능
[11. Pawns and Actor Location]
언리얼 엔진은 Player Start라는 액터의 위치에 Pawn을 생성
[12. Control rotation]
Pawn의 회전과 카메라 회전은 별개. Get Control Rotaion 노드를 통해 카메라 회전 값을 반영해 줄 방법은 있음
[13. Get Forward Vector]
Get Forward Vector 노드로 얻을 수 있는 벡터의 길이는 1.0
'개인 공부 > Unreal Engine 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E 5/C++] Section2 (0) | 2024.01.13 |
---|---|
[UE 5/C++] Section1 #2 (0) | 2024.01.13 |
[UE 5/C++] 강좌 소개 및 설치 (0) | 2024.01.11 |
[UE 5/C++] Unreal Engine 5 C++ Developer: Learn C++ & Make Video Games 시작에 앞서 (0) | 2024.01.10 |
유니티 개발자를 위한 언리얼 엔진 (1) | 2024.01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