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DP 소켓의 특성
- 신뢰할 수 없는 전송방법
- 신뢰성보다 속도가 중요할 시 사용
- TCP보다 간결하며 상황에 따라 TCP보다 좋은 성능을 내기도 함
- TCP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흐름제어가 UDP에서는 존재하지 않음
→확인 응답 과정 없음
→연결 설정과 연결 해제 과정 같은 것이 업음
UDP의 내부 동작원리
- UDP 패킷이 호스트B에서 A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은 IP의 역할
- 수신된 패킷을 PORT 정보를 참조하여 UDP 소켓에 전달하는 것은 UDP의 역할
UDP의 효율적 사용
- 일부가 손실되어도 크게 문제가 생기지 않는 데이터의 전송
-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양은 적지만 잦은 연결이 필요한 경우
- 멀티미디어 데이터, 게임에서의 방향키 입력 등
'개인 공부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hapter 06-3] UDP의 데이터 송수신 특성과 UDP에서의 connect 함수 호출 (0) | 2023.08.28 |
---|---|
[Chapter 06-2] UDP 기반 서버/클라이언트 구현 (0) | 2023.08.28 |
[Chapter 05-2] TCP의 이론적인 이야기 (0) | 2023.08.28 |
[Chapter 05-1] 에코 클라이언트의 구현 (0) | 2023.08.21 |
[Chapter 04-3] Iterative 기반의 서버, 클라이언트 (0) | 2023.08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