과제 및 프로젝트/Unreal

[UE 5] 0. 언리얼과 퍼포스 연결

Koalitsiya 2024. 3. 19. 17:20

[2. Perforce실행]

 

 

P4V를 실행 시키면 위와 같은 창이 뜬다.

여기서 New를 눌러 사용자를 만들고 워크스페이스를 생성해주면 된다.

 

 

이후 해당 경로에 프로젝트를 넣어주었다.

 

[3. Perforce에 파일 추가]

 

 

Perforce 소스 컨트롤 사용

팀 내 다른 사람들과의 애셋 공유를 위한 Perforce 구성 방법입니다.

docs.unrealengine.com

추가하려는 파일을 우클릭 후 Mark For Add를 선택해 Change List에 파일을 추가하고 Submit을 하면 된다.

자세한 건 위를 참조

[4. 언리얼 에디터와 연결]

 

에디터 우하단의 리비전 컨트롤을 클릭하면

 

 

이미 연결을 해놔서 조금 다르긴한데 위와 같은 창이 뜬다.

여기서 Perforce를 선택하고 서버,사용자명,워크스페이스를 입력 및 선택하면 된다.

[5. 외부에서 P4V 서버 접근]

 

 

외부 이용자는 해당 창에서 Server에 서버가 설치된 PC의 IP:1666을 입력하면 된다.

IP는 cmd 창에서 ipconfig 입력으로 알 수 있고

만약 공유기 사용 중이라면 IPTIME 기본 설정 페이지에서 관리도구 > 기본 설정 > 시스템 요약 정보에서 외부 IP 주소를 찾아 입력하면 된다. (포트 포워딩이 되어 있어야함)

 

추가로 방화벽 설정도 해주어야하는데

 

 

Windows Defender 방화벽을 통해 앱 또는 기능 허용을 클릭 후

 

 

위 창에서 설정 변경 클릭 후 다른 앱 허용에서

 

 

Perforce 설치 경로의 Server 폴더에서 p4d.exe와 p4s.exe를 추가해주어야한다.

소스 컨트롤 도구 중 깃허브가 베타기도 하고 퍼포스를 한 번 써보고 싶어서 찾아봤는데 정보도 별로 없어서 일단 야매식으로 연결한 것 같다.

스트림 쪽은 아직 시도도 안해봤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문제 생기거나 하는거는 그때 가서 임기응변으로 대처해봐야 할 듯 싶다...